본문 바로가기

모터제어

고주파 스위칭으로 인한 EMI 문제 해결을 위한 하드웨어 설계

1. 고주파 스위칭과 EMI 문제의 원인 분석

고주파 스위칭을 활용하는 전력 변환 회로에서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은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다.

특히,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자기파 방출이 증가하며, 이는 신호 간섭, 인근 회로의 오작동, 심지어 무선 통신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다.

EMI는 전자기 복사(Radiated Emission)와 전도성 방출(Conducted Emission)로 나뉘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이해하고 적절한 설계 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고주파 스위칭에서 EMI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스위칭 트랜지션에서의 급격한 전압/전류 변화 (dV/dt, dI/dt): 전력 변환 회로에서 MOSFET 또는 IGBT가 스위칭될 때, 높은 주파수 성분이 포함된 과도 응답이 발생한다.
  • PCB 레이아웃 설계: 신호 경로가 길어지거나 적절한 접지 처리가 되지 않으면 EMI가 증가한다.
  • 공진 및 공통 모드 노이즈: 회로 내 부유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을 일으키며 EMI를 증폭시킬 수 있다.

 

2. EMI 저감을 위한 하드웨어 설계 기법

EMI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설계 기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소프트 스위칭 기술 적용
    • 하드 스위칭 방식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션에서 급격한 전류 및 전압 변화가 발생하여 높은 EMI를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로 전압 스위칭(ZVS) 또는 제로 전류 스위칭(ZCS)을 적용하는 소프트 스위칭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소프트 스위칭을 적용하면 MOSFET 및 IGBT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고 EMI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적절한 스위칭 주파수 선택
    • 스위칭 주파수를 너무 높이면 전자기 복사 노이즈가 증가하고, 너무 낮으면 필터링이 어렵다. 따라서 적절한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예를 들어,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를 100kHz에서 200kHz로 높이면 변압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지만 EMI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목표에 맞는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해야 한다.
  3. PCB 레이아웃 최적화
    • EMI 저감을 위해 PCB 설계 시 다음과 같은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 전력 루프를 최소화하고, 스위칭 노드의 면적을 줄인다.
      • 고속 스위칭 신호는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짧고 직선적인 경로로 배선한다.
      • 접지를 다층 구조(Ground Plane)로 설계하여 공통 모드 노이즈를 줄인다.
  4. 실드 및 차폐(Shielding) 기법
    • EMI 방출을 줄이기 위해 차폐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노이즈 발생이 심한 부품 주위에 금속 차폐막을 적용할 수 있다.
    • 신호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차폐 케이블(Shielded Cable)과 꼬임쌍(Twisted Pair) 기술을 적용하면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고주파 스위칭으로 인한 EMI 문제 해결을 위한 하드웨어 설계

 

3. EMI 필터 설계 및 노이즈 억제 기술

EMI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링 기술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접근법이다.

  1. LC 필터 적용
    • 전도성 EMI를 줄이기 위해 LC 필터(인덕터+커패시터)를 설계하여 전력선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 공통 모드 초크(Common Mode Choke)와 Y-커패시터(Y-Capacitor)를 병렬로 구성하여 전자기 방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2.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 적용
    • PCB 내에서 특정 고주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신호 라인에 페라이트 비드를 삽입할 수 있다.
    • MOSFET 게이트 드라이버 또는 고속 신호 라인에 적절한 값을 가진 페라이트 비드를 삽입하면, 불필요한 고주파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액티브 EMI 필터(Active EMI Filter) 활용
    • 수동 필터(Passive Filter)로 해결하기 어려운 EMI 문제는 능동 EMI 필터를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 능동 EMI 필터는 센서와 연산 증폭기를 사용하여 노이즈 성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상쇄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EMI를 감소시킨다.

 

 

4.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EMI 저감 사례

고주파 스위칭을 사용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EMI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에서 언급한 기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1. 전기차 인버터 및 충전 시스템
    • 전기차 인버터는 고속 스위칭을 통해 전력을 변환하기 때문에 EMI 문제가 심각할 수 있다.
    • Tesla 및 현대자동차는 EMI 저감을 위해 SiC MOSFET 기반의 소프트 스위칭 기법과 적응형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 충전기 및 DC-DC 컨버터 설계 시에도 EMC 규격(예: CISPR 25)을 만족하기 위해 노이즈 차폐 및 필터링 기법을 적극 활용한다.
  2. 산업용 모터 드라이브
    • 고출력 서보 모터 및 인버터 드라이브에서도 EMI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
    • Siemens와 ABB는 전력 변환 장치에서 소프트 스위칭 기술과 LC 필터를 최적화하여 EMC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3. 항공우주 및 방산 분야
    • 항공기 및 방산용 전력 변환 시스템은 엄격한 EMI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Boeing과 Lockheed Martin은 능동 EMI 필터 및 차폐 기술을 활용하여 시스템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결론

고주파 스위칭이 필수적인 전력 변환 회로에서는 EMI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소프트 스위칭, 최적의 PCB 설계, 필터링 및 차폐 기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면 EMI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최근에는 AI 기반의 능동 EMI 억제 기술도 연구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정밀한 EMI 저감 기법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EMI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단순한 규격 충족을 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이므로,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